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대학원 후기

인공지능 대학원 준비 및 합격 후기

인공지능 대학원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을것으로 예상되어 도움이 되고자 후기를 남겨봅니다.

저는 석박통합으로 연세대, 한양대에 지원을 하였고 석사로는 성균관대, GIST, UNIST에 지원을 하였습니다.

최종 합격은 한양대, 성균관대에 했습니다.

 

1. 준비 및 스펙

저는 학부 3학년 시절부터 자대 연구실에 진학하며 자연스럽게 논문을 읽고 작성하는 경험을 쌓았고, 이를 계기로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연구실에서 인공지능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하며 Pytorch, Tensorflow, 인공지능의 기초 개념, 그리고 Foundation 모델 관련 논문 등을 학습했습니다.

선형대수학과 확률통계 등 수학적 기초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껴, 졸업 후 한학기 동안 수학 공부에 집중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서적과 블로그, 유튜브 채널(예: 혁펜하임, 통계의 본질, 쑤튜브)을 참고하며 체계적으로 학습했습니다.

 

작성자의 스펙

  • 학점: 수도권 K대학 3.83/4.5
  • 어학 성적: TOEIC 795/990
  • 수상 경력: 공모전 수상 2회
  • 논문 실적
    • 국내 컨퍼런스 1저자 6편
    • 해외 컨퍼런스 1저자 4편(미국 컨퍼런스 1저자 1편 포함)
  • 연구 경험
    • 연구실 과제 참여 2년
    • 기업 과제 참여 1편(2개월)

2. 사전 컨텍

저는 7월부터 한양대, 성균관대는 사전 컨텍을 진행하였고, 그 외 학교는 사전 컨텍을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한양대학교는 사전 컨택이 이루어졌지만, 성균관대학교와는 끝내 컨택을 못한 상황이었습니다. 사전 컨택 과정에서 대개 "자리가 없다"는 답변을 받거나, 아예 답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아마 서류상 제 스펙이 부족해 보일 수도 있지만, 진짜 자리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후 알게 된 사실인데, 보통 1~2월부터 컨텍을 진행하는 것 같더라구요.

타대의 인공지능 대학원을 진학하시고자 하는 분들은 저보다 빨리 컨텍을 진행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3. 학교별 입시 및 합격

입시 일정은 성균관대 -> 한양대 -> 연세대 -> GIST -> UNIST 순서대로 진행되었습니다.

한양대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4개 학교는 모두 1차 서류 전형을 통과해야만 2차 면접을 볼 수 있는 시스템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성균관대학교의 자기소개서와 연구계획서 작성에 약 일주일을 집중하며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나머지 학교들의 서류는 성균관대 원서를 바탕으로 해당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양식에 맞게 변경하거나 일부 내용을 약간씩 수정하여 작성했습니다.

1차 서류 결과

  • 합격: 성균관대, 연세대, GIST
  • 불합격: UNIST

한양대학교는 서류와 관계없이 면접을 진행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성균관대, 한양대, 연세대 그리고 GIST 총 4곳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이유로 GIST는 면접을 포기하였기 때문에 성균관대, 한양대, 연세대만 면접 준비를 하였습니다.

 

면접 준비 과정

면접 준비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춰 준비하였습니다.

  1. 자기소개서 및 연구계획서: 각 학교별로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가 작성한 내용을 통째로 외우고, 예상 질문과 함께 답변도 준비하는 방식으로 하였습니다.
  2. 연구 내용 정리: 학부 연구생으로써 연구실에서 진행했던 연구와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을 깔끔하게 말하기 위해 정리하였습니다.
  3. 기술 면접 대비: 선형대수학, 확통, Foundation model, 인공지능 기초 등 다양한 질문이 나올 수 있다고 예상하고 예상 질문을 뽑고, 답변을 준비하였습니다.

학교별 면접 후기

아래는 제가 면접을 본 각 학교별 면접 경험과 후기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면접은 인성면접기술면접으로 나뉘어 총 두 차례 진행되었습니다.

  • 인성면접: 자기소개, 대학원 진학 이유, 그리고 지금까지의 활동에 대한 질문과 같이 비교적 일반적인 질문들이었습니다.
  • 기술면접: 알고리즘, 인공지능 기초, 선형대수학, Foundation model 설명 등 다양한 주제에서 질문이 쏟아졌으며, 답변에 대한 꼬리 질문도 많았습니다. 단순히 겉핥기 식으로 이해한 내용으로는 당황할 수 밖에 없을 정도로 깊이 있는 질문들 이었습니다.
  • 팁: 성균관대 인공지능 대학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각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고, 예상 질문에 대해 깊이 있는 답변을 준비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한양대학교

한양대는 1차 서류전형 없이 면접만으로 선발하기 때문에 대기장소에 지원자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 면접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간단한 자기소개 후 바로 기술면접으로 이어졌습니다.
  • 질문 내용은 성균관대와 비슷하게 선형대수학, 인공지능 기초, Foundation model 등 다양한 주제에서 질문이 있었지만, 면접 시간이 짧아 깊이 있는 답변을 드리기에는 힘들었습니다. 답변에 대한 꼬리 질문보다는 여러 분야에 대해서 물어본다는 느낌이 강하였습니다.
  • 팁: 한양대 면접은 주어진 시간이 짧기 때문에, 답변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깔끔하고 핵심만 전달할 수 있는 답변 연습을 추천드립니다.

연세대학교

1차 서류를 통해 면접 인원을 추렸지만, 대기장소에 생각보다 많은 지원자가 있어 놀랐습니다.

  • 면접은 간단한 자기소개 후 바로 기술면접으로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다른 학교들에 비해 면접 시간이 매우 매우 짧아 금방 끝나는 느낌이었습니다. 사실 시간이 매우 짧아 기술면접에서 심도있는 답변을 드리기가 힘든것 같습니다.
  • 팁: 자기소개에 본인이 한 활동을 많이 녹여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연세대 인공지능 대학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자기소개에 본인이 한 활동들을 최대한 많이 담아 임팩트 있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준비하시길 추천드립니다.

 

4. 합격 후기

저는 성균관대, 한양대에 최종 합격하였습니다.

 

 

고민 끝에 저는 한양대학교 인공지능 학과로 진학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앞으로 해당 블로그에서는 제가 대학원에서 공부하며 배우는 것들을 위주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제가 공부하며 정리하는 내용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열심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